드림스키어's 스키 레포트..40 | 2012.01.21 |
11/12 오가사카(ogasaka) 스키 라인업 리뷰 |
이러한 FFS은
기존의 FLF과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엣지각도와 하중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스키딩턴에서는
보다 쉬운 회전을 할 수 있으며
엣지각도와 하중량이 상대적으로 큰 카빙턴에서는
회전저항을 줄이고 보다 안정적인 회전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락커 시스템은
내년에는 일반 스키는 물론이고
월드컵 스키의 대회전 스키에는 많은 브랜드가 채용할 예정인데
스키 제조기술의 선구자인 오가사카 스키에서도
이미 발빠르게 락커 시스템을 적용한 것은
역시 괄목한 만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올시즌 처음으로 타면서
가장 만족감을 주었던 스키들이
바로
오가사카의 올라운드 스키들이다.
특히
회전계 올라운드 스키인 KS-AX는
올시즌 들어서 가장 많이 신은 스키라고 할 수 있는데
쉬운 조작감과 고속에서의 안정감은 물론이고
최적화된 사이드컷에서 나오는 다양한 회전호는
정말 최고의 회전계 올라운드 스키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대회전계 올라운드 스키인
TC-ME의 경우는
쉽고 편하게 설계된 사이드컷과
새롭게 적용된 락커 시스템으로
보다 편하고 쉽게 회전에 진입하며
안정되게 설면을 그립하며
가장 기분좋게 롱턴을 즐길 수 있는
최적의 대회전계 올라운드 스키라고 할 수 있다.
<오가사카의 최고의 올라운드 스키 : KS-AX와 TC-ME>
이러한 올라운드 스키들은
레벨 1이나 레벨 2 를 수준의 스키어들이나
아마추어 기술선수권 대회에 나가는 스키어들에게는
최적의 스키가 아닐까 한다.
또한
필자와 같이 레슨을 전문으로 하는
스키강사들에게는
강습용으로도 최적의 스키일 것 같다.
3. 회전 및 대회전 계열(short & long turn series)
<오가사카의 회전 & 대회전 스키인 TC-SE와 GS-23>
오가사카 스키하면
기술계열 스키만을 생각하는 스키어들이 많은데
오가사카에서는
월드컵 스펙에 맞는 회전 및 대회전 스키는 물론이고
수퍼 대회전 스키도 생산하고 있다.
이중 대회전 스키들은
기술선수권 대회를 참가하는 데몬스트레이터들에게도 인기가 많은데
특히
여성용 월드컵 스키인 GS-23은
기술선수권 대회의 롱턴계열의 종목에
안성맞춤인 스키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작년에 큰 인기를 끌었던 기술계 회전스키인
TC-SX의 업그레이드 스키인 TC-SE는
보다 쉬운 조작감과 안정감으로
역시 인기스키라고 할 수 있다.
<오가사카 스키제조 기술의 결정체 : GS-23 / TC-SE>
이러한 회전 및 대회전 스키는
레벨 2, 3 수준의 스키어들을 물론이고
데몬스트레이터 레벨의 스키어들도 충분히 사용가능한 스키이다.
또한
월드컵 규정에 맞는 대회전 스키는
레이서들에게도 인기 있는 스키가 될것 같다.
4. 회전계 올라운드 스키 : KS-AX
<오가사카 스키의 회전계 올라운드 스키 : KS-AX>
올시즌 오가사카 스키중에서도
필자에게 가장 만족감을 준 것이 바로
회전계 올라운드 스키인 KS-AX이다.
오가사카의 "Keo's" 시리즈는
기술스키에 특화된 계열인데
그중에서 KS-AX는 플래그쉽 모델답게
다양한 제조기술이 적용되고
새롭게 다듬어진 사이드컷으로
숏턴부터 미들턴은 물론이고
롱턴까지 커버가 가능한 스키라고 할 수 있다.
<KS-AX의 탑부분>
전체적으로 검정색으로 디자인된 KS-AX는
고급스러움을 추구한듯 하다.
검정색을 기본으로 하여서
사이드월과 로고들이 빨간색으로 매칭되어서
강렬한 컬러대비를 이루면서도
넘치지 않는 디자인의 완성도를 자랑한다.
또한
스키의 탑부분에는 팁 프로텍터가 부착되어 있어서
다양한 환경에서 안심하고
스킹을 할 수 있다.
<양각으로 선명하게 보이는 FLS>
스키의 탑을 보면
오가사카가 자랑하는 FLS가 확연하게 드러나 있는데
특히
센터 앞쪽에는 스테빌라이저에 구멍이 뚫려 있어서
보다 무게의 경량화와 하중의 집중도를 높였다.
<마커 바인딩과 RC-600FL 플레이트>
오가사카 스키에는
다양한 바인딩이 매칭 가능하겠지만
그래도
가장 잘 어울리는 것은
역시 마커 바인딩이 아닐까 한다.
필자가 테스트중인 스키에는
보다 경량화를 추구한
comp12.0 바인딩을 장착하였다.
또한
플레이트는 비교적 단단하면서도
자연스러운 플렉스가 나오는
RC-600FL을 장착하였는데
이로 인하여 보다 단단한 엣지그립감은 물론이고
모글에서도 자연스럽게 스키가 휘어져서
부담없는 스킹이 가능했다.
<KS-AX의 테일부분>
KS-AX의 테일부분은
전체적으로 탑과 비슷한 컬러로 디자인되어 있지만
오가사카와 KEO'S가 반대로 배색되어 있어서
보다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또한
FLS의 경우도
탑과는 다르게 테일 양옆으로 길게 뻗어 있어서
스키의 무게를 센터쪽에 집중시키고
스키의 자연스러운 휘어짐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테일의 그립력을 강화하였다.
<KS-AX의 베이스>
오가사카의 회전계 올라운드 스키의
KS-AX는 다음과 같은 스펙을 가지고 있다.
(1) 길이 및 회전반경 : 155(12.8), 160(13.7), 165(14.7), 170cm(15.7m)
(2) 사이드컷 : 114-67-99mm
(3) 구조 : 셀탑구조
(4) 적용기술 : 빔시스템, FLS, FLF
(5) 소재 : NF우드코어, AL7178, 특수 FRP
<오가사카 최고의 회전계 올라운드 스키 : KS-AX>
TC-AX를 타보면
기본적으로 상당히 부드러운 활주감과
편안한 조작감이 돋보인다.
또한
회전계 올라운드 스키답게
쉬운 느낌으로 숏턴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미들턴과 작은 회전반경의 롱턴에서도
놀랍도록 편안한 느낌으로
카빙턴이 가능한 것이 느껴진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미들턴을 베이스로 제작된 기존의 올라운드 스키보다
보다 샤프하고 섬세한 느낌이 드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일반적인 올라운드 스키보다 짧은 길이의 165cm로도
기존의 170cm의 올라운드 스키가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회전이 가능하여
보다 편안하고 즐거운 스킹이 가능하다.
레벨 1~3의 스키어들중에서
편안함을 추구하는 스키어라면
강추하고 싶은 스키이다.
5. 대회전계 올라운드 스키 : TC-ME
<오가사카의 대회전계 올라운드 스키 : TC-ME>
오가사카의 대회전계 올라운드 스키인
TC-ME는
큰 기대를 하지 않고 타봤는데
의외의 큰 만족감을 준 스키라고 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평상시에 자주 가던 샵에서
전진 스키선수였던 누군가가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을 하길래
속는 셈치고 타봤는데
정말 큰 만족감을 준 스키가 바로
TC-ME이다.
"TC(technical competition)" 시리즈는
기술선수권 대회를 겨낭하여 제작된
기술계열의 탑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중에서
TC-ME는 사실
미들턴을 베이스로 제작된
대회전계열의 올라운드 스키이다.
하지만
미들턴을 물론이고 롱턴에서도
큰 위력을 발휘하는
대회전계의 올라운드 스키라고 할 수 있다.
<TC-ME의 탑부분>
전체적으로 검정색을 바탕으로
노란색의 오가사카 폰트가 돋보이는 TC-ME의 디자인은
세련되면서도 노란색 특유의 화사함이 느껴진다.
여기에
부분적으로 흰색의 여백이 있어서
한층 여유롭게 느껴진다.
TC-ME의 탑에는
대회전계열의 모델답게 팁 프로텍터가 없어서
보다 깔끔한 모습이다.
또한
탑아래쪽으로 FLS 가 튀어나와 있는데
회전 모델에 비해서는
조금 짧게 설계되어 있어서
롱턴시 보다 자연스러운 플렉스가 나오게 만들어져 있다.
<TC-ME으l 마커바인딩과 RC-600GR 플레이트>
필자가 테스트한 스키에는
대회전계열의 스키답게 마커사의 comp16.0 바인딩이 장착되어 있어서
스피드에 대한 여유로움이 느껴지고
알루미늄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보다 그립력이 뛰어난
RC-600GR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있어서
고속에서도 높은 신뢰도를 느낄 수 있다.
확실히
최근의 오가사카 스키는
보다 오가사카 스키에 최적화된
자체 생산의 플레이트를 장착하면서
스키의 성능이 보다 진일보한 느낌이다.
또한
자신의 스킹 스타일에 맞도록
다양하게 플레이트를 장착할 수 있어서
스키의 성능을 보다 세밀하게 재조정할 수도 있다.
<TC-ME의 사이드컷이 적혀있는 탑시트>
올시즌 오가사카 스키의 TC 시리즈에는
스키의 사이드컷이 잘 보이도록
특히 빨간 폰트로 적혀있는데
그만큼 최적의 사이드컷에 대한 자신감이
보이는 것 같다.
<TC-ME의 테일부분>
TC-ME의 테일은
전형적인 테일 마무리인 금속재질로 되어 있어서
튜닝시 둥글게 다듬어서
회전 후반부의 빠져나감을 좋게 만들 필요가 있을것 같다.
또한
FLS도 탑부분과 마찬가지로
테일의 끝에서 조금 못미치는 부분까지
부착되어 있어서
보다 자연스러운 스키의 휘어짐이 발생하도록 했다.
또한 일본제라는 글씨를
빨간색으로 돋보이게 하였는데
이 역시 장인정신을 발휘해서 만들었다는 것에 대한
무언의 자부심일것 같다.
<크로스 스트럭쳐로 마무리된 TC-ME의 베이스>
TC-ME의 경우에도
활주성이 뛰어나고
상대적으로 회전성도 좋은
크로스 스트럭쳐로 마무리 되어 있어서
흡설에서도 스키를 다루기가 편하게 준비되어 있다.
(1) 길이 및 회전반경 : 167(17.6), 172(18.8), 177cm(20.0m)
(2) 사이드컷 : 109-69-96mm
(3) 구조 : 셀탑구조
(4) 적용기술 : 빔시스템, FLS, FLF, FFS
(5) 소재 : NF우드코어, AL7178, 특수 FRP
<오가사카의 쾌적한 대회전계 올라운드 스키 : TC-ME>
한번이라도
오가사카의 TC-ME를 타본 스키어라면
그 즐거움과 편안함에 매료될것 같다.
일반적인 대회전 스키에 비해서
탑의 넓이가 조금은 넓어서
카빙을 시작할 수 있는 임계 스피드에 대한 부담이 적고
센터와 테일의 넓이도 조금을 넓게 만들어져서
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하면서도
스키의 가속감을 즐길 수 있다.
특히
설질이 많이 안좋아지는
초봄에 열리는 레벨2 검정회등에서
설질에 좌우되지 않고
부담없이 자신의 실력을 발휘하기에 최적의 스키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대회전 이외에는 사용빈도가 적은
일반적인 대회전 전용스키에 비해서
미들턴과 숏턴까지도 시도할 수 있는 올라운드 스키라서
보다 효율적인 스키라고 할 수 있다.
이 스키는
레벨 1과 레벨 2 검정회는 물론이고
기술선수권 대회나 아마추어 기선전에서도
스키어를 든든하게 지원해주는
가장 큰 조력자가 될 것이다.
6. 기술계 회전스키 : TC-SE
<오가사카 기술계 회전스키의 대명사 : TC-SE>
올시즌 오가사카 스키의 대표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TC-SE는
작년에 발매되었던 TC-SX의 업그레이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오가사카 스키를 타면서
처음 타봤던 TC-SX가 정교함을 기본으로
안정된 그립감을 자랑하였다면
이번 시즌의 TC-SE는
우수한 조작감을 더해서
보다 다루기 편하면서도
보다 다양성이 가미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TC-SE는
오가사카의 대표적인 회전스키답게
당연히 기대감을 가지고 스키를 탔고
또한 당연하게 그 기대감에 부응하여 주는 신뢰성 높은 스키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가사카의 TC-SE를 선택한다는 것은
가장 실패할 확률이 적은
스키를 선택한다는 의미라고도 할 수 있다.
<TC-SE의 탑부분>
올시즌 오가사카의 대표모델답게
TC-SE는 가장 강렬한 디자인을 채택하고 있다.
TC시리즈의 기본색인
검정색을 베이스 컬러로 해서
검정색과 가장 강렬하게 매칭된다는
빨간색으로 메이크업을 하였다.
덕분에
멀리서도 오가사카의 대표적인 회전모델이라는 것을
쉽게 알아보도록 기획한
브랜드의 자신감일지도 모르겠다.
또한
회전전용 스키답게
팁 프로텍터가 단단하게 부착되어 있고
FLS가 탑 바로 아래까지 길게 뻗어있어서
보는 것만으로도
강한 탄성력이 느껴지는것 같다.
<오가사카 대표 회전모델의 새로운 사이드컷>
올해
TC 시리즈의 가장 큰 변화는
바로 사이드컷의 변화가 아닐까 한다.
지난 시즌의 TC-SX는
117-67-104mm 로서
섬세함과 안정감이 뛰어난 회전스키였지만
탑과 센터의 넓이가 조금 좁아서
상대적으로 조금 조작이 어려운 면도 있었다.
올해의 TC-SE는
전형적인 회전스키의 사이드컷에
센터부분의 넓이를 조금 줄여서
보다 재빠른 조작과 강한 가속감을 자랑한다.
<마커바인딩과 RC-600GR이 부착된 TC-SE>
TC-SE도
다른 TC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DIN 수치가 16까지 설정되어 있는 comp 16.0 바인딩과
강한 그립력과 반발력을 자랑하는
RC-600GR이 기본으로 선택할 수 있지만
자신의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플레이트와 바인딩의 변화가 가능하다.
<TC-SE 의 테일부분>
테일부분에도 강렬한 빨간색으로
"TC-SE"라는 글자가 프린드되어 있는데
여기에 맞춰서
일본제(made in japan)이라는 글자가
검정색으로 프린트되어 있다.
테일부분의 양옆으로는
풀잠자리의 접은 날개같은 FLS가 길게 뻗어 있어서
보고만 있어도
회전 후반부의 짜릿한 가속감이 절로 느껴지는 기분이다.
<TC-SE의 베이스>
TC-SE의 활주면은
신터드 베이스에
그라화이트를 배합하여
내구성이 뛰어나면서도
왁스 흡입력이 우수하다.
TC-SE의 스펙은 다음과 같다.
(1) 길이 및 회전반경 : 155(11.3), 160(12.1), 165cm(12.9m)
(2) 사이드컷 : 120-67-101mm
(3) 구조 : 셀탑구조
(4) 적용기술 : 빔시스템, FLS, FLF
(5) 소재 : NF우드코어, AL7178, 특수 FRP
<TC 시리즈의 대표모델 : TC-SE>
TC-SE를 타보면
기본적으로 강한 그립감과 섬세한 조작감이 느껴진다.
스키어가 원하는 만큼
파워와 컨트롤을 가했을때
한치의 오차도 없이
스키어가 원하는 만큼 정확하게 움직여주는 느낌이다.
또한
강설이나 아이스반에서도
설면을 확실하게 파고들어주는
샌드위치 특유의 그립감과 안정감은
고속에서도 믿고 신뢰하며
스킹이 가능하다.
여기에 추가로 느껴지는
재빠른 민첩성과 가속감은
오가사카의 장인들이 완성한 스키의 결정체라는
느낌이 절로 들게 한다.
대상 스키어는
레벨 2,3는 물론이고 데몬스트레이터들도
믿고 사용할 수 있는 스키이며
기술선수권 대회는 물론이고
아마추어 기술선수권 대회의 상위입상을 꿈꾸는 스키어라면
반드시 주목해야 할 스키라고 할 수 있다.
7. 레이싱계 대회전스키 : GS-23
<오가사카의 경기용 대회전 스키 : GR-23>
오가사카 스키하면
기술계열의 스키만이 자연스럽게 떠오르기 마련이지만
레이싱계열의 스키에서도
제대로 된 경기용 스키를 생산하는 브랜드가
바로 오가사카이다.
그중에서
여성용 대회전 스키로서
FIS의 규정에 맞도록 제작된 것이
바로
GR-23이다.
레이싱 스키답게
회전에 진입하는 최저 스피드와
조작에서는 정교함이 필요하지만
일단
회전에 진입하였을때의
우수한 그립감과 안정감과 신뢰감은
레이싱 스키만의 느낌이 물씬 풍겨난다.
그리고
이 모델은
기술선수권 대회의 대회전계열 종목에
가장 적합한 스키라고도 할 수 있다.
<GR-23의 탑부분>
GR-23은 물론이고
Triun 시리즈의 대회전 계열에서는
검정색을 바탕으로 디자인되어서
보는이로 하여금 저절로 포스가 느껴진다.
여기에 빨간색으로 폰트가 처리되어 있어서
보다 강렬하고 인상적인 디자인으로 완성되었다.
구조상에서는
레이싱 스키답게 심플하게 설계되어 있어서
보는 이로 하여금
숨겨진 강력한 그 무언가가 그 밑에 웅크리고 있다는
기대감을 이끌어낸다.
<오가사카의 숨겨진 히든카드 : GS-23>
Triun의 대회전 시리즈는
기본적으로 같은 디자인과 같은 컬러를 기본으로
각각의 회전반경에 맞도록
다른 네이밍만이 스키표면에 프린트 되어 있다.
<마커 바인딩과 RC-600GR 플레이트>
GR-23의 경우에도 다른 오가사카 탑모델과 마찬가지로
DIN 16의 comp16.0 마커바인딩과
RC-600GR과 RC-600FL 플레이트의 선택이 가능하다.
<GR-23의 테일부분>
GR-23의 경우에는
월드컵 규정에 맞도록 설계된 스키이니 만큼
길이에 따라서 사이드컷이 달라지므로
회전 반경만이 테일부분에 프린트 되어 있다.
또한
연식이 표면에 프린트 되어 있는 것도
큰 특징인데,
이는 구조적인 큰 변화가 없고
디자인적인 변화를 많이 줄수 없는
레이싱 스키 특유의 성격때문일것 같다.
<GR-23의 베이스>
오가사카의 여성용 대회전 스키를 표방하는
GR-23은 다음과 같은 스펙을 가지고 있다.
(1) 길이 및 회전반경 : 175(23.3), 180(23.3), 185cm(23.3m)
(2) 사이드컷 : 103-67-88(175), 104.5-67-89.5(180), 106.5-67-91.5mm(185cm)
(3) 구조 : 셀탑구조
(4) 적용기술 : 빔시스템, FLF
(5) 소재 : NF우드코어, AL7178, 특수 FRP
<오가사카의 대회전 스키 : GR-23>
오가사카의 대회전 스키인
GR-23을 타보면 강력한 그립감과 확실한 안정감이 느껴진다.
레이싱 스키답게
섬세한 조작과 높은 활주스피드가 필요하지만
일단 위의 조건이 만족되어 회전에 들어가면
그 어떤 스키보다도
고속에서의 높은 수준의 롱턴이 가능하다.
어느정도의 길이와 폭과 안전이 확보되어 있는 슬로프 조건이라면
GR-23의 가지고 있는 숨겨진 질주본능을
제대로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스키는
기술선수권 대회를 준비하는 데몬스트레이터와
레벨 3이상의 스키어들이
기술선수권 대회에서의 사용하는 것을 물론이고
그 본연의 목적에 맞도록
여성 레이서들이 대회전에서 높은 신뢰감과 만족감을 가지고
스킹을 할 수 있는 스키임에 틀림이 없다.
8. 결론
<더욱 풍성해진 11/12 시즌의 오가사카 스키 라인업>
올시즌 오가사카의 카탈로그를 보면서
가장 놀랐던 점은
작년에 비해서
비약적으로 많아진 스키 라인업이다.
특히
테크니컬 시리즈가 롱턴, 미들턴, 숏턴으로 세분화되어서
보다 목적에 맞는 정확한 스키선택이 가능해졌다는 것이 눈에 들어왔다.
또한 악세사리도 다양해져서
가방과 장갑과 폴등의 종류도 다양해졌다.
이것은
개업 100년을 맞이하는 오가사카의
재도약의 노력이 확실히 느껴지는 부분이다.
이제 일본은 오스트리아로부터
현대스키를 받아들인지
100년이 흘렀다.
또한
기술선수권 대회를 시작한지는
올해로서 49년이 흘렀고
핫뽀에서 기술선수권 대회를 연지는
30년의 세월이 흘렀다.
무언가 드라마틱하고
최악의 불경기의 일본 스키계에
다시금 관심을 끌 수 있는
무언가 놀라운 일이 생길지도 모르겠다.
스키는 드라마다.
드림스키어
OGASAKA 11/12 New Model ski 설명
오가사카 스키는 "생각하는 그대로 활주할 때 비로소, 활주 본연의 즐거움이 만들어진다."는 확고한 제작 이념을 바탕으로, 진정한 스키를 만들어왔습니다.
호평의 정점에 이른 PPF(Power Platform Function), FLS(Full Length Stabilizer)에 이어, BMS(Beam System)를 개발하고, FLS를 개량하여, 한층 진화된 스키를 제안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부 모델에, FFS(Front Float System)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Beam System 탑재 모델의 시승을 통하여,
1. PPF가 발 밑의 그립력을 향상시켰다면, BMS는 스키 전체에서 부드럽고 고른 그립감을 느낄 수 있다.
2. 스키 전체에 정확한 그립력과 부드러운 추진력을 느낄 수 있다.
3. 매우 부드러운 감각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스키를 움직이기 쉽다.
는 평을 얻고 있습니다.
개량형 FLS 탑재 모델의 시승을 통하여,
1. 설면으로부터의 세밀한 진동을 경감시켰다.
2.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확실한 부드러움이 있다.
는 평을 얻고 있습니다.
Front Float System 탑재 모델(TC-LE, TC-ME, ET-9.0, ET-8.0)의 시승을 통하여,
1. 회전 시동시의 급격하게 선단부의 에지가 물려 들어가지 않고, 부드러운 회전의 시작이 가능하다.
2. 회전 후반에 말려 올라감이 최소화되고, 저항을 분산시켜, 턴 스피드와 추진력을 느낄 수 있다.
는 평을 얻고 있습니다.
제품의 본질이 더욱 중요해지는 이 시점에, “오가사카 스키를 사용해서 좋았다. 다음에도 오가사카 스키를 사용하고 싶다.”는 평을 받는 스키를 제안하고 싶습니다. 모두 엄격한 기준으로, 오가사카 스키의 특성과 품질을 평가해주시기 바랍니다.
Front Float System 설명도
FFS(Front Float System) : 종래의 앞쪽의 접설점보다 센터쪽으로 새롭게 점설점을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회전 중에, 가장 적합하게 설계된 형상에 의해, 선단부의 국부적으로 받는 설면 저항을 최적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FFS와 FLS(Front Lead Function)의 상호 작용으로, 회전 중의 선단부의 설면 저항을 최적으로 분산시켜, 설질이나 사면 상황에 제한 받지 않고, 에지 그립이나 안정성 및 활주력을 만들어낼 수 있는 형상입니다. 회전의 시동 시에 급격한 에지 물림이나 회전 후반부의 불필요한 말려 올라감을 방지합니다.
있습니다.
2. 턴을 할 때, 스키에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접점이 테일측으로 이동해 갑니다.
3. 파우더 등 압력이 없는 눈에서는 컨택트길이가 길어 집니다.
접점 이동 시스템 스키를 설면에 둔 상태에서 기본 캠버의 연결 눈 위치에서 플랫, 가압 때는 퇴고의 연결, 눈 점이 테일쪽으로 이동하고 파우더 등 압력이 없는 눈에서는 최고 측에 접촉 길이
가 됩니다.
적용모델 : STYLUS, ELIXIR
거기에 길게 늘어난 컨텍트길이가 부력과 안정성을 가져다 줍니다. 평평한 면 에 놓아서는 넓은 형태의 모델을 LONG-NOSE형태로 하는 것으로 컨택트 길이를 짧게 하고, 조작성을 높이고, 발바닥으로 에지감을 느끼며 절도있는 턴을 가능하게 합니다.
적용모델 : STRANGE, BLAZER, DOUBLER
무게중심을 센터 근처에 하는것으로, 회전감을 높이고, 하이퍼포먼스를 약속합니다.
BLASTRACK의 Real Twin은, Twin 성능뿐만아니라 센터 포지션에서의 라이딩도 기분 좋게 즐길 수 있습니다.
적용모델 : RADIANT, DIVERSE
드림스키어's 스키 레포트...27 : 10/11시즌 오가사카 GP-01 / TC-SX 리뷰
안녕하세요.
드림스키어입니다.
<10/11 시즌 오가사카 올라운드 및 회전계 탑모델인 GP-01 / TC-SX>
오가사카 스키는
일본이 오스트리아로부터 스키를 받아들였던
1912년부터 스키를 처음 제작하기 시작하여
올해로 100주년을 맞이하는
일본 스키의 역사와 함께 한 스키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때
일본스키의 붐과 더불어
니시자와, 야하마, 미즈노등의 스키들이 제작되었다가
지금은 단종되었고
현재 스왈로우 스키가 렌탈 중심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케이스키가 북해도를 중심으로 소량 판매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일본스키의 어려움 속에도
꿋꿋하게 자신만의 자리를 더욱 확고하게 유지하며
100주년을 맞이하는 일본 스키의 자존심이 바로 오가사카 스키입니다.
<일본 하쿠바에서 만난 오가사카 사장님>
지난 봄
일본 기술선수권 때문에 하쿠바에 갔을때 만났던
오가사카 사장님은
오가사카 스키에 대한 자부심이 상당히 강한
스키장인이라는 느낌이 드는 분이었습니다.
특히
올시즌에는 새롭게 출시되는 인터페이스인
RC-600GR과 RC-600FM에 대한 기대를 많이 하더군요.
사실
오가사카 스키는
2003년도에 "E-Turn"이라는 모델을 시승한 것이 처음이었는데
그때도 아주 편하면서도 샤프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2003년 드림스키어's 오가사카 E-Turn FC 시승기 보기
그렇게 오가사카 스키를 처음 접하고
거의 10여년이 흘러서
올시즌의 메인 모델인
올라운드 계열의 GP-01과 기술계 회전모델인 TC-SX를
다시 테스트하게 되었습니다.
오가사카 스키는
이번에도 저에게 기대한 만큼 만족감을 주는
역시 장인이 만든 스키였습니다.
1. TC-SX
<오가사카의 기술계(Technical Competition) 회전모델인 TC-SX>
<오가사카 TC-SX 시승 동영상>
TC-SX는
기술선수권 대회(Technical Competition)라는 명칭의 약어를 사용하는 만큼
기술계의 회전종목을 목표로 태어난 스키입니다.
오가사카의 회전계 탑모델인
TC-SX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Shell Top Structure
<TC-SX의 앞부분>
오가사카 스키는 전통적으로
샌드위치 구조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샌드위치 구조만을 고집하지는 않고
스키의 카테고리에 맞도록
부분적으로 캡구조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최적의 성능을 이끌어내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셀탑구조는
기본적으로 샌드위치 구조를 베이스로 캡구조의 장점을 결합한 구조입니다.
즉
샌드위치 스키의 윗면에 캡구조의 탑시트를 장착하여
샌드위치 구조 특유의 안정성과 엣지 그립력을 살리면서도
캡구조 특유의 하중전달력과 토션성능을 향상시킨 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셀탑구조의 TC-SX는
숏턴시 빠른 회전에서의
순간적인 안정성과 엣지그립이 최대한 발휘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2) PPF & FLS
<TC-SX의 앞부분에 보이는 FLS>
오가사카 스키에는
각 스키의 성능에 맞도록
그리고
각 스키의 부분에 맞도록 보강소재가 덧대어져 있습니다.
그중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스키의 중심부분에 삽입된 PPF(Power Flatform Function)와 FLS(Full Length Stabilizer)입니다.
PPF는
스키의 중심부에 알루미늄을 삽입하여
스키에서 가장 큰 하중을 받게되는
스키의 센터부분을 강화한 것입니다.
또한
FLS는 스키에 전달되는 하중을
스키의 탑과 테일로 전달하여 회전성을 높이고
스키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PPF와 FLS로 보강된 TC-SX는
숏턴시 강한 엣지그립을 발휘하면서도
스키의 회전성과 진동흡수성이 뛰어나고
조작감이 높은 스키가 되었습니다.
(3) RC-600 GR Plate
<TC-SX에 장착된 RC-600 GR 플레이트>
지난 봄
일본 하쿠바에서 오가사카 사장님을 만났을때
가장 큰 자신감을 나타냈던 것이
바로 플레이트였습니다.
이번에
오가사카에서는 두개의 플레이트를 선보였는데
그중 보다 단단한 느낌을 주는 플레이트가
바로
RC-600 GR입니다.
이 플레이트는
매우 조밀한 플라스틱의 하단부에 알루미늄 플레이트가 삽입되어서
스키센터 부분의 엣징을 강화하여
보다 단단한 활주감을 느끼게 합니다.
또한
플레이티의 중심부에는 주름이 형성되어 있어서
스키의 자연스러운 휘어짐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배려가 느껴집니다.
사실
TC-SX는 다양한 조합의 플레이트
(FM-600 / RC-600 GR / RC-600 FM)를 장착할 수 있는데
저는 고속에서의 안정감과 단단한 활주감을 느끼고 싶어서
RC-600GR을 선택하였는데
저의 스킹 스타일에 맞춰보니
이러한 저의 선택이 틀리지 않은것 같습니다.
RC-600GR이 장착된 TC-SX는
고속의 숏턴은 물론이고 기복이 심한 모글에서도
강한 엣지그립과 단단한 활주감이 느껴지며
확실한 안정감을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4) FLF(Front Lead Function)
<FLF이 적용된 TC-SX의 앞부분>
오가사카 스키를 타면서
마치 콜럼부스의 달걀처럼 놀란 것이
바로
FLF(Front Lead Function)입니다.
보통의 스키에서는
하중의 차이에 상관없이 스키의 접설면의 길이가 동일합니다.
이는
스키탑의 변곡점과 최대 넓이점이 같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스키의 회전호를 변화시킬때 비교적 많은 하중량의 변화를 주며
정교한 조작이 필요하게 됩니다.
그러나
스키탑의 변곡점과 최대 넓이점이 다른
FLF가 적용된 오가사카의 TC-SX는
하중량에 따라서 접설면의 길이가 달라지고
접설면의 폭도 달라지기 때문에
스키의 회전호를 변화시키기가 보다 수월하게 됩니다.
실제로
TC-SX를 신고
스키딩 계열의 숏턴과 하이스피드 계열의 숏턴은 물론이고
카빙숏턴을 해보다도
스키가 자유자재로 회전호를 바꿔가며 회전한다는 느낌이 듭니다.
(5) Wood Core
<TC-SX에 장착된 Marker Comp 16.0 바인딩>
오가사카 스키는
스키의 성능을 최대한 이끌어 낼수 있는 소재인 우드코어를 사용합니다.
오가사카 스키에는 다양한 나무가 사용되는데
주로
단풍나무, 참나무, 밤나무 등이
2년동안의 천연건조를 거쳐서
같은 나무에서 잘려진 목재를 같은 짝의 스키에 사용하여
최대한 좌우스키의 성능을 동일하게 만듭니다.
이처럼 건조과 제조과정에서
조금이라도 변형이 일어나는 목재는 철저하게 폐기하여
최고의 품질을 추구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우드코어를
스키에 사용되는 소재들과 오랜 시간을 거쳐 저온압착을 합니다.
(6) Just Tuned
<TC-SX의 베이스>
오가사카 스키는
그야말로 장인이 만든 스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가사카의 새스키를 처음 신을때 받는
첫번째 감동이 바로
스키어에 맞도록 스키을 정밀하게 마무리한
"Just Tuned"라는 컨셉입니다.
Just Tuned는
스키어가 처음 스키를 신는 순간부터
최고의 스키성능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한땀한땀 수작업으로 스키의 베이스와 엣지를
최적의 상태로 마무리한 것입니다.
이러한
Just Tuned 의 오가사카 스키를 신는다는 것은
마치 월드컵 레이서가 되어서
최고의 서비스맨에게 레이싱 서비스를 받는것과 같다고
하겠습니다.
(7) Spec
<TC-SX의 수려한 모양새>
TC-SX는
기술선수권 대회에서 최고의 데몬스트레이터들이
각자 최고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최적의 스펙을 갖추고 있습니다.
- 길이 : 155, 160, 165cm
- 사이드컷 : 117-67-104mm
- 회전반경 : 11.2m@155cm, 12.0m@160cm, 12.8m@165cm
TC-SX는
일반적이 회전스키와는 약간 다르게
탑의 넓이가 조금 좁으면서도 테일의 넓이가 조금 넓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는
기술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는
탑 스키어들의 레벨에 맞춰서
정교하게 조작을 하면서 회전을 시작하여
각각의 조작에 맞도록 스키가 적절한 회전반경으로 회전을 시작하여
회전 마지막에 스피드가 떨어지지 않고
가속감 있게 회전을 마무리하도록 배려한 것입니다.
(8) Feeling
<TC-SX의 미끈한 모습>
TC-SX의 시승감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정교한 스키"라는 것입니다.
즉
스키어가 마음먹은대로
한치의 오차도 없이 회전을 만들어내는 스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스키는
특유의 단단하고 안정적인 시승감 때문에
저속보다는 다소 중속이상의 회전에서
그 성능을 잘 발휘하는 스키입니다.
스키딩을 동반한 패럴렐턴은 물론이고
스피드를 동반한 카빙숏턴에서도
정교한 스킹감과 세밀한 엣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모글에서도 사이드컷을 이용한 뱅크성의 모글스킹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기술선수권 대회나 레벨2 시험에서의 모글용 스키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스키의 테일이 조금 넓게 설계된 만큼
스키에 적응할때까지는 테일부분의 엣지를 조금 티튠을 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스키의 성능을 잘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어느정도의 기술레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1. GP-01
<오가사카의 올라운드 탑모델 GP-01>
올시즌의 키워드중 하나가
바로
"올라운드(All Round) 스키"입니다.
이는
스키에서도 합리적인 소비가 일어나기 시작하였다는 것으로
한대의 스키로 카빙계열의 롱턴과 미들턴은 물론이고
스키딩 계열의 숏턴과 모글까지 타고 싶다는 스키어들의
열망의 표현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러한
스키어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올라운드 스키가
다양한 브랜드로부터 출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탑모델을 베이스로 한 올라운드 스키가
별로 없다는 것이 약간의 아쉬움이었는데
올시즌 오가사카에서 GP-01이라는
탑모델의 올라운드 스키가 판매되면서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오가사카 GP-01 시승 동영상>
(1) TwinKeel Structure
<트위킬 구조를 채용한 GP-01>
GP-01는
역시 샌드위치 구조를 베이스로 하여
부분적으로 캡구조를 적용하여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트윈킬 구조는
스키가 많이 휘어져서 플렉스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스키의 탑과 테일에는 샌드위치 구조를 적용하고
회전시 많은 하중이 가해져서 비틀림에 대한 강성이 필요한
스키의 센터에는 캡구조를 적용한
오가사카 만의 독특한 구조입니다.
또한 트윈킬 구조를 보강하기 위해서
스키의 탑부터 테일까지
ABS 수지로 사이드월을 부착하여
충격흡수성을 높였습니다.
이러한 트윈킬 구조의 GP-01을 타보면
부드러운 회전 도입과 마무리가 느껴지면서도
회전 중반에는 높은 안정감과 그립감이 느껴집니다.
(2) PPF & FLS & FLF
<GP-01에 적용된 PPF & FLS>
GP-01에도 TC-SX에 적용된
PPF(Power Platform Function)과 FLS(Full Length Stabilizer)가 적용되어서
높은 그립감과 안정성이 느껴집니다.
실제로
이 스키를 타보면
저속은 물론이고 고속에서도 안정성이 좋고, 부드러운 엣징감이 느껴집니다.
또한
FLF(Function Lead Function)도 적용되어 있어서
하중과 회전호가 바뀌어도 스키의 조작이 쉽게 느껴집니다.
(3) RC-600FL
<GO-01에 부착된 RC-600FL과 마커 바인딩>
GP-01에는
RC-600FL이라는 새로운 플레이트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이 플레이트는
RC-600GR과 거의 같은 구조이지만
플레이트 중간에 알미늄판이 없어서
보다 부드러운 플렉스와 보다 가벼운 무게가 특징입니다.
실제로
이 플레이트가 부착된 GP-01을 타보면
활주감이 상당히 부드럽고
특히
회전의 도입과 마무리에서의 엣징감이
특히 소프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플레이트는
다양한 회전호과 다양한 성질의 턴에서
다양한 성능을 발휘해야하는 GP-01에 상당히 잘 맞는 궁합이라고 생각됩니다.
(4) Wood Core & Just Tuned
<GP-01의 베이스>
GP-01에도 우드코어와 Just Tuned 피니쉬가 적용되어 있어서
처음 스키를 신는 순간부터
GP-01이 가지는 최고의 성능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우드코어와 피니쉬도
GP-01에 맞도록 적절하게 적용되어 있어서
부드럽고 샤프한 시승감이 절로 느껴집니다.
피니쉬만으로 볼때
TC-SX와는 또다른 피니쉬를 했다는 느낌이 듭니다.
그만큼
각각의 스키에 맞도록 커스텀화된 피니쉬를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5) SPEC & Feeling
<오가사카 스키의 올라운드 탑모델 : GP-01>
올시즌 출시된
많은 올라운드 스키들중에서
군계일학처럼 빛나는 스키가 바로 GP-01입니다.
GP-01은
- 길이 : 155, 160, 165, 170, 175cm
- 사이드컷 : 116-70-101mm
- 회전반경 : 13.1m@155cm, 14.1m@160cm, 15.1m@165cm, 16.1m@170cm, 17.1m@175cm
의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길이로 볼때
올라운드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롱턴용 스키로도 잘 활용할 수 있을것 같은
다양한 길이선택이 가능합니다.
사이드컷은
비교적 회전스키에 가깝지만
스키의 탑과 센터에 여유가 있어서
보다 다양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이 스키를 타보면
부드러운 활주감을 느낄 수 있으면서도
속도를 내보면 고속에서의 안정감이 느껴지고
회전의 전반에서의 다양한 회전감과
회전 마무리에서의 매끄러운 마무리가 돋보이는 스키입니다.
또한
모글에서도 사이드컷이 아주 크지 않고
다소 길이가 있어서 안정되면서도 확실한 회전라인을 그리면서
모글에서 자신있게 활주할 수 있고
스키의 탑과 테일이 잘 휘므로 깊은 모글에서도 부담이 덜 합니다.
GP-01은
레벨 1은 물론이고 레벨 2과 데몬스트레이터까지 사용이 가능한
고성능의 올라운드 스키입니다.
만약 레벨2 테스트등을 한대의 스키로 도전해야 한다면
자신있게 권하고 싶은 스키가
바로
GP-01입니다.
올겨울은
오가사카 코리아가 설립되어
본격적으로 오가사카 스키의 재도약을 시작한 첫해입니다.
그동안
여러 수입업체를 통해서 수입되던 오가사카 스키가
오가사카 코리아라는 하나의 구심점을 기준으로
보다 집중력있고 본격화된 영업과 마케팅이 기대됩니다.
앞으로 오가사카 스키의
장인정신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오가사카 코리아의
도전정신이 계속해서 이어지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드림스키어
오가사카 스키는 '생각하는대로 활주해야 비로소, 활주 본연의 즐거움을 만들 수 있다.'는 확고한 제작 이념을 바탕으로, 진정한 스키를 꾸준히 만들어왔습니다.
이와 같은 근간 위에, 이번 시즌, 새로운 기능인 PPF (Power Platform Function), FLS (Full Length Stabilizer)를 탑재함으로써, 스키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개량하였습니다. 그 결과를 통하여, 조작의 즐거움으로 성능의 향상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PPF의 채용을 통해서,
1. 발밑의 그립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어, 발군의 자르기를 느낄 수 있다.
2. 발밑이 안정되어, 상재적으로 선단부와 후미부가 부드럽게 느껴져, 순조로운 활주의 맛을 느낄 수 있다.
3. 전체적으로 일정한 휘어짐을 잘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불규칙적인 사면에서도 스키가 튀지 않고, 추진력이 있는 회전이 용이하다.
FLS의 채용을 통해서,
1. 설면으로부터의 잔진동을 확실히 경감시킨다.
2.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차분한 활주가 가능하다.
라는 평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제품의 본질이 중요시되는 시대, '오가사카 스키를 사용해서 좋았다, 다음에도 오가사카 스키를 사용하고 싶다.'고 평가받을 수 있는 상품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스키어 여러분들의 엄격한 눈으로 평가해주시기 바랍니다.
또 다른 문제점은, 스키의 길이는 크게 바뀌었지만, 바인딩 장착부의 길이는 예전과 같다는 사실입니다. 나사 조립 등의 방법으로 스키와 결합되는 바인딩 장착부의 길이 자체가 부츠와의 결합과 함께 짧은 스키의 플렉스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던 것입니다
플레이트는, 내장 타입과 외부 부착 타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만, OGASAKA SKI는 외부 부착 타입을 선택합니다.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만, 역시나 스키의 성능을 최대한 살려내기위한 것이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플렉스의 밸런스를 잡는 것은, 스키의 설계에 있어 가장 신경쓰는 부분입니다. 가능한 매끄러운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서, 스키의 형상이나 구조가 급격하게 변하게 설계하지 않는 편이 좋습니다. 플레이트를 내장하면, 그만큼 급격하게 두꺼워지거나 얇아지는 부분이 생겨, 그 부분에서의 플렉스 강성이 급격하게 변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로 인하여, 매끄러운 밸런스의 유지가 불가능해집니다. 또한, 플레이트가 내장되어 두꺼워진 부분의 플렉스 강성은, 지나치게 강해져, 포지션을 높이는 것 이외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어집니다.
이로 인하여, 충분한 높이를 확보하면서도, 매끄러운 플렉스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 부착의 방법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스텝인과 턴테이블 바인딩을 모두 장착할 수 있는 플레이트
또한 OGASAKA SKI는, FM-500, FM-590과 같이 바인딩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설계하였던 종래의 FM plate를 진화시켜, 바인딩의 형상에 무관하게, 플레이트를 장착하고, 바인딩을 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새로운 플레이트를 FM-550을 완성시켰습니다.
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07/08 시즌에는, 일반 사용자를 위한 스키들의 센터 폭이 한층 넓어지고 있음을 반영하여, 적절한 굽힘 강도와 센터 폭을 갖는 FM-600을 새롭게 개발하였습니다. 기존의 FM-550의 높이가 16mm임과 비교하여, 12mm의 다소 낮은 높이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FIS 규정의 변화로 플레이트의 높이가 한층 낮아지고 있는 경기용 스키들의 변화 추이에 호응한 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