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다른 문제점은, 스키의 길이는 크게 바뀌었지만, 바인딩 장착부의 길이는 예전과 같다는 사실입니다. 나사 조립 등의 방법으로 스키와 결합되는 바인딩 장착부의 길이 자체가 부츠와의 결합과 함께 짧은 스키의 플렉스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던 것입니다

플레이트는, 내장 타입과 외부 부착 타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만, OGASAKA SKI는 외부 부착 타입을 선택합니다.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만, 역시나 스키의 성능을 최대한 살려내기위한 것이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플렉스의 밸런스를 잡는 것은, 스키의 설계에 있어 가장 신경쓰는 부분입니다. 가능한 매끄러운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서, 스키의 형상이나 구조가 급격하게 변하게 설계하지 않는 편이 좋습니다. 플레이트를 내장하면, 그만큼 급격하게 두꺼워지거나 얇아지는 부분이 생겨, 그 부분에서의 플렉스 강성이 급격하게 변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로 인하여, 매끄러운 밸런스의 유지가 불가능해집니다. 또한, 플레이트가 내장되어 두꺼워진 부분의 플렉스 강성은, 지나치게 강해져, 포지션을 높이는 것 이외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어집니다.
이로 인하여, 충분한 높이를 확보하면서도, 매끄러운 플렉스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 부착의 방법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스텝인과 턴테이블 바인딩을 모두 장착할 수 있는 플레이트
또한 OGASAKA SKI는, FM-500, FM-590과 같이 바인딩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설계하였던 종래의 FM plate를 진화시켜, 바인딩의 형상에 무관하게, 플레이트를 장착하고, 바인딩을 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새로운 플레이트를 FM-550을 완성시켰습니다.
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07/08 시즌에는, 일반 사용자를 위한 스키들의 센터 폭이 한층 넓어지고 있음을 반영하여, 적절한 굽힘 강도와 센터 폭을 갖는 FM-600을 새롭게 개발하였습니다. 기존의 FM-550의 높이가 16mm임과 비교하여, 12mm의 다소 낮은 높이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FIS 규정의 변화로 플레이트의 높이가 한층 낮아지고 있는 경기용 스키들의 변화 추이에 호응한 결과입니다.